회차 | 원서접수 | 시험일 | 성적발표일 |
제63회 | 2020년 12월 22일~2021년 01월 04일 | 2021년 01월 16일(토) | 2021년 01월 22일 |
제64회 | 2021년 01월 19일~2021년 02월 08일 | | 2021년 02월 26일 |
제65회 | 2021년 02월 23일~2021년 03월 08일 | 2021년 03월 20일(토) | 2021년 03월 26일 |
제66회 | 2021년 04월 20일~2021년 05월 03일 | 2021년 05월 15일(토) | 2021년 05월 21일 |
제67회 | 2021년 06월 22일~2021년 07월 05일 | 2021년 07월 17일(토) | 2021년 07월 23일 |
제68회 | 2021년 07월 20일~2021년 08월 02일 | 2021년 08월 14일(토) | 2020년 08월 20일 |
제69회 | 2021년 08월 17일~2021년 08월 30일 | 2021년 09월 11일(토) | 2021년 09월 17일 |
제70회 | 2021년 10월 19일~2021년 11월 08일 | 2021년 11월 20일(토) | 2021년 11월 26일 |
[ 영역별 출제문항수 / 배점 / 시간 ] |
구 분 |
지식이해 |
적 용 |
분석추론 종합판단 | 시간 |
경제이론(30문항 / 100점)
| 20문항 / 60점
|
10문항 / 40점
| -
| 100분 |
시사경제(30문항 / 100점)
| 20문항 / 60점 |
10문항 / 40점
| -
|
응용복합(20문항 / 100점)
| -
| -
|
20문항 / 100점
|
계(80문항 / 300점)
|
40문항 / 120점
|
20문항 / 80점
| 20문항 / 100점 | 100분 |
구 분 |
지식이해 |
적 용 |
경제이론 | 기초일반 | -경제정보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주요 경제이론 및 지식 테스트
-경제기초/미시/거시/금융/국제 등 경제학 전분야에서 골고루 출제
-3점짜리 20문항, 4점짜리 10문항 등 총 30문항 100점 만점으로 구성
|
미시 |
거시 |
금융 |
국제 |
시사경제 | 정책(통계) | -경제•경영과 관련된 뉴스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배경지식을
테스트
-새로운 경제정책과 산업, 기업관련 뉴스 이해에 필요한 경제•경영•상식을 검증
-3점짜리 20문항, 4점짜리 10문항 등 30문항 100점 만점으로 구성 |
상식(용어) |
경영(회사법·회계·재무) |
응용복합
(추론판단)
| 자료해석 | -경제•경영•시사•상식을 결합한 심화영역으로 경제 상황을 분석, 추론, 판단할 수 있는 종합 사고력을 테스트
-자료(통계)해석형, 이슈분석형, 의사결정형 문항으로 출제
-여러 변수를 고려해야 하는 경제이해력의 특성을 감안해
마련한 영역으로 가장 높은 5점짜리 20문항으로 구성 |
이슈분석 |
의사결정(비용편익분석) |
▣ 한경TESAT채점
▷경제이론, 시사경제(경영), 상황판단(응용복합) 등 3개 영역에서 총 80문항을 출제하여 평가
▷ 문항당 3~5점이 배점되며, 300점 만점임
▷ 총점을 기준으로 경제이해력 정도를 나타내는 S, 1~5등급을 부여(백분율 석차도 함께 표시)
▣ 한경TESAT 평가등급
구 분 |
등급 |
점수 | 역량평가 |
국가
공인 | S | 270~300점 | 복잡한 경제정보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, 이를 근거로 주어진
경제상황에서 독자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고, 찬반논쟁이
있는 경제이슈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설득력 있게 제시할 수 있음.
경제이해력 탁월 |
1급 | 240~269점 | 복잡한 경제정보를 대부분 이해할 수 있으며, 이를 근거로 주어진 경제상황에서 독자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고, 찬반논쟁이 있는 경제 이슈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소신 있게 제시할 수 있음.경제이해력 매우 우수 |
2급 | 210~239점 |
일반적인 경제정보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
주어진 경제상황에서 독자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고,
찬반논쟁이 있는 이슈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음.
경제이해력 우수 |
3급 | 180~209점 |
일반적인 경제정보를 대부분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약간의 도움을 받는다면 주어진 경제상황에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고 , 찬반논쟁이 있는 이슈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음.
경제이해력 보통 |
민간
자격 | 4급 | 150~179점 |
주위의 도움을 받아 일반적인 경제정보를 이해할 수 있으며, 이를 근거로 주어진 경제상황에서 상사의 지도 감독 아래 간단한 의사
결정을 내릴 수 있음. 경제이해력 약간 미흡 |
5급 | 120~149점 | 주위의 조언을 상당히 받아 일반적인 경제정보를 이해할 수 있으며, 이를 근거로 주어진 경제상황에서 상사의 지속적인 지도 감독 아래 간단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음. 경제이해력 미흡 |
등급 외 | 120점 미만 | - |
형태 | 기업명 |
대졸
사원채용 | 삼성그룹(증권 포함), 현대차, 현대제철, 현대카드, 현대다이모스, SK증권,
GS리테일, 대림, S-oil, 코오롱, BGF리테일, CJ그룹, 모두투어, 아모레퍼시픽, 대우건설,
한라, 넥센타이어, 한국타이어, LF, OCL, 신세계, 오뚜기, KT&G, 세아상역,
굿네이버스, 한국거래소, KB국민카드, 애경, 신영증권, IBK기업은행, 대신증권,
현대오일뱅크, 대우증권, 동양그룹, 동양종금증권, 하이닉스, 현대엔지니어링, 키움증권,
보광훼미리마트, 한국관광공사, 한국남동발전, 한국산업단지공단, 한화, SPC그룹, KT, 동원그룹, 글로비스, 한국경영자총회, 동국제강, 전국경제인연합회 |
신입/인턴
사원채용
| 전국경제인연합회, 글로비스, 중소기업중앙회 |
성적우수자
추천 | 한국상장회사협의회 |
임직원
승진인사 | 퍼시스, 한국투자증권, 전국경제인연합회, SK네트웍스, 동부그룹 |
임직원
단체응시 | 교보증권, 국회, 굿모닝신한증권, 기업은행, IBK투자증권, 대우증권, 대한전선, 동부증권,
동양종금증권, 현대오일뱅크, 메리츠증권, 삼성선물, 삼성투신운용, 삼양사, STX,
우리투지증권, 키움증권, 포스코, 하나대투증권, 외환은행, 하나은행, 한국증권금융,
한국투자증권, 현대해상, SK네트웍스, 퍼시스 |
형태 |
대학명 |
졸업시험대체 | 강원대학교(경제학과), 한국방송통신대학(경제학과), 한국외국어대학교(경제학과),창원대학교(경제학과, 경영학과), 경기대학교(경제학과), 동서대학교(경제학과) |
형태 | 점수 | 등급 | 학점인정 |
국가공인 | 270~300점 | S | 20 |
240~269점 | 1 | 19 |
210~239점 | 2 | 18 |
180~209점 | 3 | 17 |
소관부처 | 자격종목 | 등급 | 자격관리자 | 공인기간 |
기획재정부 | 경제이해력
검증시험
(한경TESAT) | S, 1~3급 | 한국경제신문사 | 2018.11.10~2021.11.09 |
※
3등급
이상 취득할 경우 학생부에 기재하여 대학 학생부종합전형이나 특기자전형 등에서 활용할 수 있음